가스미가세키 빌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스미가세키 빌딩은 1968년 완공된 일본 최초의 현대식 오피스 마천루이다. 도쿄 클럽과 가스미카이칸 부지를 통합하여 건설되었으며, 1962년 건축 기준법 개정으로 고도 제한이 폐지되면서 초고층 빌딩 건설이 가능해졌다. 완공 당시 일본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며, 36층에 전망대가 설치되어 많은 방문객을 끌었다. 1989년 전망대는 사무실로 개조되었으며, 1970년 세계 무역 센터 빌딩이 완공되기 전까지 일본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빌딩의 총 용적은 약 50만 입방미터이며, 현재도 설비 리뉴얼과 입주자 교체를 통해 자산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쓰이 부동산 - 도쿄 미드타운
도쿄 미드타운은 미쓰이 부동산이 주도하여 2007년 개장한 미나토구 아카사카의 대규모 복합 시설로, 고층 건물, 미술관, 호텔, 상업 및 주거 시설을 갖추고 롯폰기 지역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며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미쓰이 부동산 - 나카노시마 미쓰이 빌딩
오사카 나카노시마에 위치한 나카노시마 미쓰이 빌딩은 구 나카노시마 미쓰이 빌딩의 외관을 계승하여 재건축되었으며, 윈도우 아트 일루미네이션으로 유명하고 오사카 거리 경관상, 굿 디자인 상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상층부에는 도레이 오사카 본사가 입주해 있다. - 1968년 완공된 건축물 -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 위치한 빅토리아 국립미술관은 1861년 개관 이후 기증과 유증을 통해 소장품을 형성, 현재 NGV 인터내셔널과 이언 포터 센터 두 분관으로 운영되며 폭넓은 미술 컬렉션과 특별 전시, 교육 프로그램으로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고 2028년 개관을 목표로 현대 미술관을 건설 중이다. - 1968년 완공된 건축물 -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은 이집트 카이로에 위치한 콥트 정교회 대성당으로, 파괴와 재건을 거치며 콥트 건축 양식의 발전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며, 타와드로스 2세 알렉산드리아 교황의 집무실이 있고, 성 마르코의 유물 일부가 안치되어 있다. - 지요다구의 마천루 - 호텔 뉴 오타니 도쿄
호텔 뉴 오타니 도쿄는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오타니 요네타로가 설립한 도쿄 3대 호텔 중 하나로, 지요다구 기오이초에 위치하며 400년 역사의 일본 정원, 최첨단 기술, 회전 레스토랑, 국제 행사 개최지, 영화 촬영지 등으로 유명하다. - 지요다구의 마천루 - 마루노우치 빌딩
마루노우치 빌딩은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에 위치한 복합 상업 및 오피스 빌딩으로, 1923년 '동양 제일의 빌딩'으로 불렸던 9층 건물이 간토 대지진과 제2차 세계 대전 피해를 극복했으나 1997년 폐쇄 후 2002년 재건축되어 현재는 180m 높이로 상업 시설과 기업들이 입주해 지역 경제와 문화에 기여하고 있다.
가스미가세키 빌딩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가스미가세키 3-2-5, 지요다구, 도쿄, 일본 |
상태 | 완공 |
착공일 | 1965년 3월 |
완공일 | 1968년 |
개장일 | 1968년 4월 |
용도 | 복합 용도 |
높이 | 147m |
지상 층수 | 36층 |
지하 층수 | 3층 |
엘리베이터 수 | 승객용 29대, 화물용 6대 (도요 오티스, 히타치) |
연면적 | 153,234m² |
대지 면적 | 16,320m² |
설계 | 카지마 건설 |
소유주 | 가스미 회관 사단법인, 미쓰이 부동산 |
이전 최고층 건물 | 호텔 뉴 오타니 도쿄 |
다음 최고층 건물 | 도쿄 월드 트레이드 센터 빌딩 |
최고층 시작 연도 | 1968년 |
최고층 종료 연도 | 1970년 |
최고층 지역 | 일본 |
명칭 정보 | |
일본어 명칭 | 霞が関ビルディング (가스미가세키 비루딩구) |
로마자 표기 | Kasumigaseki birudingu |
설계 및 시공 | |
설계자 | 미쓰이 부동산, 야마시타 설계 |
구조 설계자 | 해당 사항 없음 |
시공 | 카지마・미쓰이 건설공동 기업체 |
구조 | |
구조 형식 | 철골 구조(일부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 |
면적 정보 | |
부지 면적 | 16,326.40㎡ |
건축 면적 | 3,561.20㎡ |
연면적 | 165,692.33㎡ |
기타 정보 | |
주차 대수 | 500대 |
우편 번호 | 100-6090 |
2. 역사적 배경
가스미가세키 빌딩은 일본 최초의 마천루로 널리 알려져 있다.[6] 간토 대지진 이후 도쿄에는 31미터 높이 제한이 있었으나, 1962년 건축기준법 개정으로 고도 제한이 폐지되어 초고층 빌딩 건설이 가능해졌다.[7]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5년 3월 18일 가스미가세키 빌딩이 착공되었고, 1968년 3월 18일 완공되었다.
이 건물은 구(舊) 화족 고위 귀족들의 협회인 가스미카이칸이 소유했으며,[5] 이전에는 화족회관이 소유하고 있었다.
일본에서 거의 처음 시도된 초고층 빌딩이었기 때문에 여러 어려움이 있었고, 이는 NHK의 ‘프로젝트X~도전자들~’에서도 소개되었다.[30] 준공 당시 36층 전망대는 많은 사람들이 찾았으나, 이후 사무실로 개조되었다.[30]
빌딩 총 용적은 약 50만 입방미터(총 중량 약 10만 톤)로, 도쿄 돔 준공 전에는 큰 부피를 나타낼 때 '가스미가세키 빌딩 몇 개'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했다.
2. 1. 건설 배경
가스미가세키 빌딩 부지는 원래 구(舊) 화족 고위 귀족들의 협회인 가스미카이칸(霞会館)과 도쿄 구락부가 소유하고 있었다.[5] 1959년, 미쓰이 부동산은 도쿄 구락부의 무카이 타다하루 회장으로부터 현지에 있던 클럽 빌딩(부지 2000평)의 재건축에 대한 협력 요청을 받았다. 미쓰이 부동산은 입지 조건이 좋다고 판단하여 공동 빌딩을 건설하기로 합의하였다.하지만 착공 직전 경기가 나빠져 일본 정부로부터 빌딩 건설 중지령이 내려졌고, 착공을 1년 연기하도록 권고받았다. 중지령이 내려진 동안, 도쿄 구락부의 유력 멤버이자 중재자였던 테라시마 무네츠구를 통해 인접한 가스미카이칸(부지 약 3000평)도 공동 개발을 희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미쓰이 부동산 사장 에도 히데오는 호소카와 모리타쓰 가스미카이칸 이사장과 도쿠가와 무네타카 부이사장을 방문하여 자신의 생각을 전했고, "그것은 좋은 생각이다. 부디 부탁한다"라는 찬동을 얻어 가스미카이칸도 공동 개발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로써 도쿄 클럽과 가스미카이칸의 부지 통합 이야기가 진행되었다.
5000평 부지에 종래의 31미터 이하 백척 규제로 빌딩을 지으면, 부지 전체를 사용한 평면적인 빌딩이 되어 긴 복도, 채광 부족 등의 결점이 생기고 도시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았다.
당시 건축 행정에는 새로운 움직임이 있었다. 구 건축기준법에서도 주변에 넓은 도로, 공터가 있다면 31미터 이상의 빌딩을 인정하는 특례 제도가 있었고, 이 특례를 이용하여 16층 빌딩 건설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1962년 10월, 고노 이치로 건설대신의 자문에 응하여 일본 건축 학회가 높이 제한을 철폐하고, 대신 용적률 제한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답신을 내놓았다. 건축 기법 상에서도 종래의 강구조 이론 대신 획기적인 연성 구조가 확립되어 가고 있었다.
당시 미쓰이 부동산은 초고층 빌딩 건설에 주력했고, 1961년 말에는 연성 구조의 초고층 오피스 빌딩(30층)과 주변 개발의 청사진이 그려졌다. 1962년 6월에는 가스미가세키 빌딩 기획실, 10월에는 건설위원회가 설치되었다. 1963년 7월, 학회의 의견에 따라 높이 제한을 철폐하는 건축 기준법 개정이 실현되었다.
전체 계획 진행 중, 도쿄 클럽으로부터 "1964년 가을의 도쿄 올림픽까지 새 빌딩을 완공하고 싶다"는 강력한 요청이 있어, 가스미가세키 1기 공사로서 지상 6층짜리 도쿄 클럽 빌딩을 우선 착공했다.
2. 2. 건설 과정
1965년 3월 18일에 착공하여, 1968년 3월 18일에 완공되었다.[30] 도쿄에서는 간토 대지진의 교훈으로 31미터 높이 제한(백척 규제)이 있었으나, 1962년 건축기준법 개정으로 고도 제한이 폐지되면서 초고층 빌딩 건설이 가능해졌다.[7]일본에서 거의 처음으로 시도된 초고층 빌딩이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은 NHK의 '프로젝트 X: 도전하는 사람들'에서도 소개되었다.[30]
건설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공법들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신공법 채택과 공정 관리 개선을 통해 공사비를 16363억엔으로 억제하였다.
1959년 가을, 도쿄 클럽의 무카이 타다하루 회장이 미쓰이 부동산의 에도 히데오 사장에게 클럽 빌딩 재건축 협력을 요청하면서 공동 빌딩 건설이 합의되었다. 그러나 착공 직전 경기 악화로 정부의 빌딩 건설 중지령이 내려져 착공이 1년 연기되었다. 중지령 기간 동안 인접한 가스미카이칸도 공동 개발에 참여하면서 부지 통합이 진행되었다.
5000평 부지에 31미터 이하 백척 규제로는 평면적인 빌딩이 될 수밖에 없어 도시 미관상 좋지 않았다. 당시 건축기준법 특례를 이용하여 16층 빌딩 건설 계획을 세웠지만, 1962년 일본 건축 학회가 높이 제한 철폐 및 용적률 제한 제도 도입을 답신하였다.
1963년 7월, 건축 기준법 개정으로 높이 제한이 철폐되었다. 1964년 도쿄 올림픽 이전 완공을 위해 가스미가세키 1기 공사로 6층짜리 도쿄 클럽 빌딩을 우선 착공했다. 초고층 빌딩 건설은 특정 가구 수법을 활용, 감사원 부지와의 사용권 교환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1964년 8월 "도쿄 도시 계획 가스미가세키 3가 특정 가구" 지정을 받았다.
빌딩 설계는 야마시타 지로 설계 사무소가 담당했고, 시공은 미쓰이 부동산과 가시마 건설(후에 미쓰이 건설도 참가)이 협력했다. 무토 키요시, 다카야마 에이카, 요시타케 타이수이 등 건축학자도 건설 위원회에 참여했다.
준공 당시 13층은 불길한 숫자로 여겨져 기계실로 사용되었다. 비상 계단은 중앙 공용부에 설치되어 화재 시 연기가 쌓이지 않는 구조로 설계되었다.[23]
2. 3. 완공 이후
1968년 3월 18일에 개장했다. 준공 당시 36층에 전망대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으나, 이후 사무실로 개조되었다.[30] 1970년 3월에 세계 무역 센터 빌딩이 준공될 때까지 2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일본 최고 높이의 건축물이었다.[18]빌딩의 총 용적은 약 50만 입방미터(총 중량 약 10만 톤)로, 도쿄 돔이 준공하기 전에는 큰 부피를 나타낼 때 '가스미가세키 빌딩 몇 개'라는 표현이 자주 사용되기도 했다.
1972년에는 아폴로 계획의 유인 달 착륙을 축하하여, 일본에서 처음으로 빌딩 조명을 제어하여 윈도우 아트로 외벽에 메시지를 그렸다.
준공 이후 40년이 지났지만, 지속적으로 IT화 등 설비 리뉴얼과 입주자 교체 등을 통해 빌딩의 자산 가치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근처에 신가스미가세키 빌딩이 있고, 가스미가세키 3초메에 가스미가세키 커먼게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 전체의 부가가치는 높아지고 있다.
복합 고층 빌딩의 선구로서, 36층에 전망대[19], 하층부에는 빌딩 내 우체국과 진료소, 지상층 주변에 공개 녹지를 각각 설치하여 "거리" 기능을 통합하여 부흥시켰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2014년에는 방재 대응 능력을 강화했다.[21]
3. 주요 특징
가스미가세키 빌딩은 일본 최초의 마천루로 알려져 있다. 1965년 3월 18일에 착공하여 1968년 3월 18일에 완공되었다. 간토 대지진의 경험으로 도쿄에는 31m의 높이 제한이 있었으나, 1962년 건축기준법 개정으로 고도 제한이 폐지되면서 초고층 빌딩으로 건설될 수 있었다.
일본에서 거의 처음으로 시도된 초고층 빌딩이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이야기는 NHK의 '프로젝트X~도전자들~'에서도 소개되었다.[30] 준공 당시 36층에 전망대가 있었으나, 이후 사무실로 개조되었다. 빌딩의 총 용적은 약 50만 입방미터(총 중량 약 10만 톤)로, 도쿄 돔이 준공되기 전에는 큰 체적을 표현할 때 '가스미가세키 빌딩 몇 개'라는 표현이 자주 사용되기도 했다.
준공 이후 40년이 지났지만, 지속적인 설비 리뉴얼과 입주자 교체 등을 통해 빌딩의 자산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 인근에 신가스미가세키 빌딩이 있으며, 가스미가세키 3초메에 가스미가세키 커먼게이트 등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 전체의 부가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이 건물은 화족 고위 귀족들의 협회인 가스미카이칸이 소유하고 있다.[5] 이 부지는 한때 이전 협회였던 화족회관이 소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1947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변경되었다. 1968년에 완공된 이 건물은 일본 최초의 현대식 오피스 마천루로 널리 알려져 있다.[6]
3. 1. 구조 및 설계
가스미가세키 빌딩은 대형 H형강을 전면 채용한 연성 구조를 통해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는 유연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19] 또한, 슬릿(slit)이 있는 내력벽을 설치하여 서로 다른 진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되었다.[19]건설 당시 "셀프 클라이밍 방식" 타워 크레인, "데드 플레이트 거푸집 공법" 등 새로운 공법을 채택하여 공사 기간과 비용 절감을 꾀했다.[19] 이러한 신공법 적용과 더불어 공정 관리를 개선하여 총 1630억원으로 공사비를 억제했다.[19]
3. 2. 시설
준공 당시 36층에는 전망대 "파노라마 36"이 있어 큰 인기를 끌었으나, 1989년에 사무실로 개조되었다.[22] 전망대 폐쇄 후, 35층에는 도카이 대학 교우회관이 레스토랑, 연회장, 회의실을 운영하며 일반인도 이용할 수 있었지만, 2020년 8월부터 휴관 중이다.[25] 34층에는 가스미카이칸 클럽 룸이 있는데, 회원 전용이며 화족의 후손들만 이용할 수 있다.[5]이 외에도 아시아 개발 은행 연구소[8] 및 아시아 개발 은행의 일본 지사,[9] 어린이 가족청[10]이 가스미가세키 빌딩 내에 본사를 두고 있다. 과거에는 전일본공수,[11] 미쓰이 화학,[12] 가루다 인도네시아와 연합 항공 수송,[14][15] 일본 화물 항공,[13]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16]도 이 건물에 사무실을 두었었다.
현재는 이토추 에넥스, 플루타스 컨설팅, 마쓰다 도쿄 본사(등기상 본점은 히로시마현 아키군 후추정) 등이 입주해 있다.
3. 3. 리뉴얼
1989년, 2000년, 2009년에 걸쳐 총액 약 4700억엔을 투입하여 대규모 개보수를 실시했다.[20] 공조, 급수, 정보 통신 등 인프라스트럭처를 갱신하고, 동일본 대지진 이후 2014년에는 방재 대응 능력을 강화했다.[21]1990년대에 들어서 IT화를 토대로 설비 리모델링을 단속적으로 실시했다. 특히 2001년부터 가스미가세키 3초메 지역의 재개발 (가스미가세키 코먼 게이트)에 맞춰 인접한 가스미가세키 빌딩에서도 저층부 증축 및 개수 등이 이루어져 빌딩 단독에 그치지 않고 지역 전체의 부가가치 향상을 도모했다.
4. 입주 기업 및 기관
아시아 개발 은행 연구소는 가스미가세키 빌딩 8층에 본사를 두고 있다.[8] 같은 층에는 아시아 개발 은행의 일본 지사도 있다.[9] 어린이 가족청은 이 건물에 본사를 두고 있다.[10]
이토추 에넥스, 플루타스 컨설팅, 마쓰다 도쿄 본사 (등기상 본점은 히로시마현 아키군 후추정)도 이 건물에 입주해 있다.
과거에는 전일본공수,[11] 미쓰이 화학,[12] 일본 화물 항공,[13] 가루다 인도네시아, 연합 항공 수송[14][15],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16] 등이 이 건물에 입주했었다.
입주 기관 및 기업 |
---|
아시아 개발 은행 연구소 (8층)[8] |
아시아 개발 은행 일본 지사 (8층)[9] |
어린이 가족청[10] |
이토추 에넥스 |
플루타스 컨설팅 |
마쓰다 도쿄 본사 (등기상 본점은 히로시마현 아키군 후추정) |
과거 입주 기관 및 기업 |
전일본공수[11] |
미쓰이 화학[12] |
일본 화물 항공[13] |
가루다 인도네시아[14] |
연합 항공 수송[15] |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15층)[16] |
5. 사회문화적 의의
1968년 가스미가세키 빌딩 준공 당시 36층에 전망대가 설치되어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으나, 이후 사무실로 개축되었다.[30] 준공 후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IT화 등 설비 리뉴얼과 입주자 교체를 통해 빌딩의 자산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신가스미가세키 빌딩이 근처에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미가세키 3초메에 가스미가세키 커먼게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재개발이 진행되어 지역 전체의 부가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5. 1. 일본 최초의 마천루
가스미가세키 빌딩은 일반적으로 일본 최초의 마천루로 알려져 있다.[6] 1965년 3월 18일에 기공하여 1968년 3월 18일에 개장했다.도쿄에서는 간토 대지진의 교훈으로 31미터 높이 제한이 있었으나, 1962년 건축기준법이 개정되면서 고도 제한이 폐지되어 초고층으로 설계되었다. 일본에서 거의 처음으로 시도된 초고층 빌딩이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이야기는 NHK의 ‘프로젝트X~도전자들~’(プロジェクトX〜挑戦者たち〜)에서도 소개되었다.[30]
1970년 3월에 세계 무역 센터 빌딩이 준공될 때까지 2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일본 최고 높이의 건축물이었다.[18]
빌딩의 총 용적은 약 50만 입방미터(총 중량 약 10만 톤)로, 도쿄 돔이 준공되기 전에는 큰 체적을 표현할 때 ‘가스미가세키 빌딩 몇 개’라는 표현도 자주 사용되었다.[26]
5. 2. 대중문화
가스미가세키 빌딩은 이 건물을 건설한 가지마 건설이 지원한 영화 '초고층의 새벽'의 주요 소재였다.[4] 도쿄 돔 건설 이전까지 일본에서 부피가 큰 대상을 비교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빌딩의 총 용적은 약 50만 입방미터(총 중량 약 10만 톤)이며, 도쿄 돔이 준공되기 전에는 막대한 체적을 표현할 때 "가스미가세키 빌딩 몇 배"라는 표현이 자주 사용되었다.[26] 과거 구글에서 "도쿄 돔을 가스미가세키 빌딩으로"라고 검색하면, "1 도쿄 돔 = 2.48 가스미가세키 빌딩"으로 환산되어 표시되는 기능이 구현되었지만,[27] 2018년에는 이 기능이 삭제되었다.
5. 3. 논란
1965년 불황으로 가스미가세키 빌딩 건설 자금 조달과 임차인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건설에는 150억 엔의 거액 자금이 필요했지만, 금융난으로 미쓰이 계열 대기업 재건에 매달려 있던 미쓰이 은행과 미쓰이신탁은행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는 없었다.[30] 일본개발은행이 "초고층 빌딩의 기술 개발"을 위해 60억 엔의 융자를 약속했지만, 대장성이 제동을 걸어 무산되었다.[30] 제일생명보험 무라카미 겐지 부사장의 도움으로 생명보험사 5개 사가 융자단을 결성하여 75억 엔, 은행 5개 사의 융자단도 결성되어 총 100억 엔의 융자를 받을 수 있었다.[30]빌딩 완공 1년 전부터 임차인 확보가 시작되었다.[30] 일본 최초의 초고층 빌딩이라는 점 때문에 언론의 주목을 받았지만, 빌딩 불황 시기라 오피스 부분 계약은 쉽지 않았다. 일부 임차인 후보 기업들은 초고층 빌딩은 지진 시 위험하다는 선입견을 가졌다.[30] 이에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영화를 보여주는 등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준공 연도 가을에는 만실을 달성하였다.[30]
6. 기타
빌딩명과 소재지는 "가스미가세키"이지만, 가장 가까운 역은 지하철 도라노몬역으로 가스미가세키역보다 가깝다.[29] 가스미가세키 빌딩과 주변 빌딩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정보지 『리에종』을 발행했으나, 2021년 봄호를 마지막으로 휴간했다.
빌딩 전용 우편번호 "100-60xx"가 설정되어 있다(말미 2자리는 층수를 나타내며, 지하 및 층수 불명의 경우는 100-6090). 엘리베이터 로비는 2층(Lb로 표시)에 있으며, 1층은 음식점 구역이다. 외부에서 엘리베이터 로비로 바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35층 건물처럼 보인다.
같은 가스미가세키 3초메(특허청의 인접 부지)에는 킨테츠 부동산이 건설한 "킨테츠 가스미가세키 '''빌딩'''"("킨테츠 가스미가세키 '''빌딩'''"이 아니다)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Kasumigaseki Building
http://www.emporis.c[...]
Emporis
2014-11-24
[2]
웹사이트
Kasumigaseki Building Guide Book
http://www.kasumigas[...]
2008-07
[3]
웹사이트
Kasumigaseki Building
http://www.skyscrape[...]
The Skyscraper Center
2014-11-24
[4]
뉴스
Airplane flick tells only half the story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08-11-14
[5]
뉴스
The Last Retreat Of Japan'S Nobility
https://www.washingt[...]
1997-05-21
[6]
웹사이트
Japan's first skyscraper turns 30
http://www.japantime[...]
1998-04-17
[7]
서적
The Architecture of Tokyo
Edition Axel Menges
[8]
웹사이트
Contact Us
http://www.adbi.org/[...]
[9]
웹사이트
Contacts
http://beta.adb.org/[...]
[10]
웹사이트
Global Site - Children and Families Agency|Child and Family Agency
https://www.cfa.go.j[...]
2023-09-02
[11]
간행물
World Airline Directory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1985-03-30
[12]
웹사이트
What's New
https://web.archive.[...]
Mitsui Chemicals
2010-02-18
[13]
웹사이트
Chapter 3. On the path to becoming a member of the incumbent carrier group
http://www.nca.aero/[...]
2010-02-18
[14]
서적
Japan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15]
서적
Directory of Foreign Residents, Volume 31
https://books.google[...]
Japan Times
[16]
웹사이트
PwC office locations in Japan
http://www.pwc.com/g[...]
PriceWaterhouseCoopers
2010-02-18
[17]
뉴스
霞が関ビル点灯
北海道新聞
1968-04-19
[18]
문서
[19]
문서
のちに閉鎖
[20]
뉴스
レストラン街、あったらいい店、霞が関ビルに 三井不動産明日改装開業
日本経済新聞
2009-04-09
[21]
뉴스
霞が関ビル 進化続け50年/緑地整備・複合化…再開発スタイル確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4-12
[22]
웹사이트
プロジェクトX 挑戦者たち 霞が関ビル 超高層への果てなき闘い〜地震列島 日本の革命技術〜
http://archives.nhk.[...]
NHKアーカイブス
2001-05-15
[23]
뉴스
聞き書きシリーズ 超高層から茅葺きへ 第54回
西日本新聞
2009-07-07
[24]
뉴스
校友会館が開館50周年
https://www.tokainew[...]
2019-08-01
[25]
웹사이트
【お知らせ】東海大学校友会館の休館について
https://www.tokai.ac[...]
東海大学
2020-06-17
[26]
웹사이트
霞が関ビル」竣工50年、色あせぬ存在感 日本初の超高層ビル、今も“進化中”
https://web.archive.[...]
[27]
웹사이트
Google、電卓機能を強化、「東京ドームを霞ヶ関ビルで」検索可能に
http://www.sem-r.com[...]
SEMリサーチ
[28]
뉴스
霞が関エリアのオフィス・商業複合開発『東京倶楽部ビルディング』 竣工 商業施設「霞ダイニング」10月25日オープン
https://www.mitsuifu[...]
三井不動産
2007-09-26
[29]
웹사이트
霞が関ビル・アクセス
http://www.kasumigas[...]
[30]
웹사이트
프로젝트X~도전자들~ 가스미가세키 빌딩 초고층에의 끝나지 않는 싸움 ~ 지진열도 일본의 혁명기술~
http://archives.
2013-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